프로젝트를 수행하는 경우 FP(Fuction Point)로 소프트웨어의 기능 규모를 산정하는데,
이때 사용되는 FP의 유형별 의미는 대략적으로 아래와 같다.
FP 유형 | 한글명 | 설명(예시) |
EI (External Input) | 외부 입력 | 외부 입력(사이트 내 input box)을 통해서 데이터가 DB(ILF)에 저장/변경 발생 |
EO (Extrnal Output) | 외부 출력 | 외부(사이트)에서 DB(ILF)를 조회하여 결과를 재가공하여 출력(예, 로그인시 사용자 정보가 정확한지 비교 검색하여 결과 제공) |
EQ (External Inquiries) | 외부 조회 | 순수하게 외부(사이트)에서 DB(ILF)를 조회하여 결과를 출력(예, 사용자 목록 정보 조회) |
ILF (Internal Logical Files) | 내부논리 파일 | 시스템 내에서 유지 또는 관리되는 정보(DB) |
EIF (External Interface Files) | 외부연계 파일 | 외부의 정보를 제공받아 조회만 가능한 기능 정보(DB) |
'IT 개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컬럼 비교용 SQL 작성(ANSI-SQL) - except, intersect (0) | 2022.03.27 |
---|---|
jeus8 jndi 설정 (0) | 2020.05.09 |
annotation 오류시(전자정부 샘플 소스 변경시 수정) (0) | 2020.03.20 |
maven lib 다운로드 오류시 대처 (0) | 2020.02.26 |
pom.xml 에 라이브러리 추가하기 (0) | 2020.02.26 |